지방직 공무원(10)
-
지방직 9급 공무원 12 병가② feat. 무급? 유급?
지방직 9급 공무원 11 병가에서 질병휴직까지① feat. 지방직 남자 공무원 (tistory.com) 지방직 9급 공무원 11 병가에서 질병휴직까지① feat. 지방직 남자 공무원 필자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던 중 신체적·정신적인 이유로 병가와 질병휴직을 한 적이 있다. 일부 공무원들이 병이 있음에도 책임감에 혼자 병을 키우는 경우가 있는데, 필자의 경험에 비 oflpark.tistory.com 병가 절차 제7조의5(병가)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에는 연 60일의 범위에서 병가를 허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은 누계 8시간을 병가 1일로 계산하고, 제7조의2제7항 본문에 따라 연가 일수에서 빼는 병가는 병가 ..
2022.01.09 -
지방직 9급 공무원 09 종류별(직렬별) 특징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라고 하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정직 공무원을 떠올릴 것이다. 필자 역시 그랬다. 그러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게 되면서 행정직 외에도 많은 종류(직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직렬별 교과서적 설명은 간단한 검색으로 알 수 있으므로 필자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알게 된 여러 직렬들의 업무 성격이나 기타 특징들을 필자가 경험한 선에서 장단점 등을 간단하게 코멘트하는 방식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행정직 지방직 공무원의 꽃이고 조직의 주류이다. 시·군·구청의 주요 부서에는 대부분 행정직들이 포진하고 있다. 주요 부서라고 하면 기획이나 예산, 인사와 같은 부서를 말한다. 5급 이상 부서장의 자리도 일부 시설 또는 복지 부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행정직들이..
2021.05.30 -
지방직 9급 공무원 08 ㅈ방직?②(기관·단체, 악성 민원, 철밥통)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tistory.com)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비교적 최근에 동기와 이야기하다가 지방직 공무원을 'ㅈ방직'이라고 폄하하는 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공무원 커뮤니티를 통해서 퍼진 말인 것 같은데, 불합리한 지방직 문화에 대 oflpark.tistory.com 기관·단체 지방직 공무원이 되면 내가 사는 동네에 이렇게도 많은 단체들이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다. 이·통장협의회, 주민자치위원회, 바르게살기위원회, 적십자봉사회, 새마을협의회, 부녀회, 자율방범대 등등등... 주말에 진행되는 행사로 인한 주말근무가 이런 기관·단체의 존재와 연결되는 부분도 있다. 이러한..
2021.05.28 -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비교적 최근에 동기와 이야기하다가 지방직 공무원을 'ㅈ방직'이라고 폄하하는 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공무원 커뮤니티를 통해서 퍼진 말인 것 같은데, 불합리한 지방직 문화에 대한 현직들의 불만 또는 그것을 본 공시생들의 비하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이해했다. 그 근거를 들여다보니 일부 맞는 말도 있었고 지나치게 자기비하적인 내용도 있었다. 오늘은 지방직을 'ㅈ방직'으로 비하하는 표현이 나오게끔 만드는 지방직의 몇 가지 업무와 문화에 대해서 겪은 그대로 풀어보고자 한다. 과연 지방직 공무원이 '지방직' 공무원인지 아니면 'ㅈ방직' 공무원인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기도록 하겠다. 비상근무(호우, 폭설, 산불, 방역 등) 지방직 공무원은 각종 재난 상황 발생 시 비상근무를 하게 된다. 호우, 폭설뿐만 아니..
2021.05.28 -
지방직 9급 공무원 06 첫 출근②(담당업무, 지방세)
지방직 9급 공무원 05 첫 출근①(부서 배치) (tistory.com) 지방직 9급 공무원 05 첫 출근①(부서 배치) 필자는 첫 발령을 동사무소(요즘 말로 행정복지센터라고는 하지만 주민센터 혹은 동사무소라는 표현이 더 익숙하다) 총무팀으로 받았다. 필자의 첫 담당업무는 지방세였다. 이번에는 부서 배치 oflpark.tistory.com 담당업무 동사무소의 경우 행정직 신규공무원이 맡는 첫 업무는 여자 직원의 경우 민원대에서 하는 업무가 가장 많고, 남자 직원의 경우 민원대는 잘 가지 않는 것 같고 산업이나 환경, 복지업무를 보게 될 확률이 높다. 필자는 첫 업무로 지방세를 담당했다. 지나고 생각하면 굉장히 운이 좋았던 것이 사무실 분위기에 따라 다르지만 신규라고 굉장히 배려를 많이 해준 깔끔한 업무분..
2021.05.27 -
지방직 9급 공무원 05 첫 출근①(부서 배치)
필자는 첫 발령을 동사무소(요즘 말로 행정복지센터라고는 하지만 주민센터 혹은 동사무소라는 표현이 더 익숙하다) 총무팀으로 받았다. 필자의 첫 담당업무는 지방세였다. 이번에는 부서 배치부터 본청과 동사무소의 차이, 첫 업무에 대해서 이야기하겠다. 부서 배치 지방직의 경우 신규공무원은 티오가 있는 부서들 중 랜덤에 가깝게 부서 배치를 받는다고 보면 된다. 인사업무를 오래 봤던 직원을 알게 되어 신규공무원의 배치에 대해서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 해 수석합격자 정도만 티오가 난 부서들 중 가장 주요부서라고 할 만한 곳에 보내고 그 나머지는 이런저런 것을 크게 고려하지는 않고 적당히 빈자리에 순서대로 보낸다고 했다. 이것도 인사담당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인사업무가 꽤나 바쁘고 골치 아픈 업무 중 하나여서..
202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