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지방직 9급 공무원(12)
-
지방직 9급 공무원 12 병가② feat. 무급? 유급?
지방직 9급 공무원 11 병가에서 질병휴직까지① feat. 지방직 남자 공무원 (tistory.com) 지방직 9급 공무원 11 병가에서 질병휴직까지① feat. 지방직 남자 공무원 필자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던 중 신체적·정신적인 이유로 병가와 질병휴직을 한 적이 있다. 일부 공무원들이 병이 있음에도 책임감에 혼자 병을 키우는 경우가 있는데, 필자의 경험에 비 oflpark.tistory.com 병가 절차 제7조의5(병가) ①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에는 연 60일의 범위에서 병가를 허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은 누계 8시간을 병가 1일로 계산하고, 제7조의2제7항 본문에 따라 연가 일수에서 빼는 병가는 병가 ..
2022.01.09 -
지방직 9급 공무원 11 병가① feat. 지방직 남자 공무원
필자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던 중 신체적·정신적인 이유로 병가와 질병휴직을 한 적이 있다. 일부 공무원들이 병이 있음에도 책임감에 혼자 병을 키우는 경우가 있는데, 필자의 경험에 비춰볼 때 의사의 진단 결과 치료가 필요한 때에는 우선 몸을 회복하는 게 먼저라고 생각한다. 그런 상황에 있는 분들에게 작은 팁이라도 드릴 수 있을까 싶어 필자의 병가와 질병휴직에 대한 히스토리 및 절차, tip 등을 공유하고자 한다. 지방직 남자 공무원의 숙명 필자는 공무원으로 임용되기 전부터 관절이 좋지 않았다. 특히 어깨가 좋지 않았는데 어릴 적 운동하다가 다쳐서 수술까지 받았던 적이 있다. 그래서 항상 조심하고 그 부분을 관리하면서 생활했다. 그러나 지방직 남자 공무원으로 근무한 분들을 잘 아시겠지만 행정직이어도 몸 ..
2022.01.08 -
지방직 9급 공무원 10 의원면직 feat. 병가, 질병휴직
공무원으로 재직하다가 공무원 본인이 사직원을 제출하는 것을 '의원면직'이라고 한다. 면직을 결심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만 간단히 언급하자면 아래와 같다. 1. 고향이 아닌 지역에서의 근무 2. 지자체 (조직)문화 3. 정체감 필자는 기초지자체 행정직 공무원으로 약 5년을 근무하고 의원면직하였다. 이번에는 의원면직을 하기까지 히스토리를 풀어보고자 한다. 왜? 필자는 운이 좋게도 소위 기피부서에서 근무한 이력은 없었다. 시 단위이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지자체보다 내부에서 인정을 받고 괜찮은 부서에 근무할 기회가 빨리 왔다고 볼 수 있었다. 처음에는 막연한 기대 같은 게 있었고 그것이 동기가 되어 나름대로 적극적인 태도로 근무했던 것 같다. 그러나 신규 발령받..
2021.12.31 -
지방직 9급 공무원 09 종류별(직렬별) 특징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라고 하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정직 공무원을 떠올릴 것이다. 필자 역시 그랬다. 그러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게 되면서 행정직 외에도 많은 종류(직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직렬별 교과서적 설명은 간단한 검색으로 알 수 있으므로 필자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알게 된 여러 직렬들의 업무 성격이나 기타 특징들을 필자가 경험한 선에서 장단점 등을 간단하게 코멘트하는 방식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행정직 지방직 공무원의 꽃이고 조직의 주류이다. 시·군·구청의 주요 부서에는 대부분 행정직들이 포진하고 있다. 주요 부서라고 하면 기획이나 예산, 인사와 같은 부서를 말한다. 5급 이상 부서장의 자리도 일부 시설 또는 복지 부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행정직들이..
2021.05.30 -
지방직 9급 공무원 08 ㅈ방직?②(기관·단체, 악성 민원, 철밥통)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tistory.com)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비교적 최근에 동기와 이야기하다가 지방직 공무원을 'ㅈ방직'이라고 폄하하는 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공무원 커뮤니티를 통해서 퍼진 말인 것 같은데, 불합리한 지방직 문화에 대 oflpark.tistory.com 기관·단체 지방직 공무원이 되면 내가 사는 동네에 이렇게도 많은 단체들이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다. 이·통장협의회, 주민자치위원회, 바르게살기위원회, 적십자봉사회, 새마을협의회, 부녀회, 자율방범대 등등등... 주말에 진행되는 행사로 인한 주말근무가 이런 기관·단체의 존재와 연결되는 부분도 있다. 이러한..
2021.05.28 -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비교적 최근에 동기와 이야기하다가 지방직 공무원을 'ㅈ방직'이라고 폄하하는 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공무원 커뮤니티를 통해서 퍼진 말인 것 같은데, 불합리한 지방직 문화에 대한 현직들의 불만 또는 그것을 본 공시생들의 비하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이해했다. 그 근거를 들여다보니 일부 맞는 말도 있었고 지나치게 자기비하적인 내용도 있었다. 오늘은 지방직을 'ㅈ방직'으로 비하하는 표현이 나오게끔 만드는 지방직의 몇 가지 업무와 문화에 대해서 겪은 그대로 풀어보고자 한다. 과연 지방직 공무원이 '지방직' 공무원인지 아니면 'ㅈ방직' 공무원인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기도록 하겠다. 비상근무(호우, 폭설, 산불, 방역 등) 지방직 공무원은 각종 재난 상황 발생 시 비상근무를 하게 된다. 호우, 폭설뿐만 아니..
2021.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