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18)
-
국가직 9급 공무원 되는 법 03 학원①(실강vs인강)
필자는 지방직에 합격했을 때 노량진이 아닌 집에서 가까운 공무원 학원에서 실강을 들었던 경험이 있고, 올해 국가직을 준비할 때는 공단기 인강을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노량진에서만 공부했던 합격생보다 실강과 인강에 대하여 보다 현실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오늘은 실강과 인강의 장·단점 등에 대한 글을 써 보고자 한다. 실강 공단기도 아니고 노량진에도 있지 않은 학원이었다. 그 학원을 선택했던 이유는 무엇보다 집에서 가장 가까웠기 때문이다. 노량진에서 공부해 본 경험은 없었지만 여기저기에서 비친 노량진의 이미지를 종합했을 때 유명 강사의 실강을 듣기 위해 새벽부터 학원 앞에 줄을 서고 외로움을 견디지 못한 수험생들이 스터디라는 핑계로 삼삼오오 모여서 놀자판으로 빠지는 모습들이 인상에 강하..
2021.06.09 -
국가직 9급 공무원 되는 법 02 독학①(국어/영어/한국사)
필자는 지방직(일반행정)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중 국가직(일반행정 전국) 시험을 준비하였다. 시험을 준비하게 된 이유는 지방직 문화에 대한 불만과 업무적인 갈증이 있었기 때문이다. 약 6개월의 시간이 있었는데 짧다면 짧은 기간이었기 때문에 최대한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인 공부 방법을 찾아야 했다. 필자는 공단기 프리패스를 결재하여 공단기 강사들의 강의를 수강하였는데, 오늘은 필자가 선택했던 강사와 교재(기본서, 기출문제집)들에 대해 공부하면서 느꼈던 부분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국어 기본서 1) 선재국어 세트 (★★★★★) 강의는 기본서 2배속 특강을 수강하였다. 어떤 과목이든 강의는 최대한 빨리 끝내고 암기와 문제풀이 연습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비문학과 문학, 어휘 등에 대한..
2021.06.02 -
지방직 9급 공무원 09 종류별(직렬별) 특징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라고 하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정직 공무원을 떠올릴 것이다. 필자 역시 그랬다. 그러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게 되면서 행정직 외에도 많은 종류(직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직렬별 교과서적 설명은 간단한 검색으로 알 수 있으므로 필자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알게 된 여러 직렬들의 업무 성격이나 기타 특징들을 필자가 경험한 선에서 장단점 등을 간단하게 코멘트하는 방식으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행정직 지방직 공무원의 꽃이고 조직의 주류이다. 시·군·구청의 주요 부서에는 대부분 행정직들이 포진하고 있다. 주요 부서라고 하면 기획이나 예산, 인사와 같은 부서를 말한다. 5급 이상 부서장의 자리도 일부 시설 또는 복지 부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행정직들이..
2021.05.30 -
국가직 9급 공무원 되는 법 01 시작하며
지난 27일(26일 18시에 공고 게재되었으니 확인하라는 문자가 발송되었다) 국가직 9급 필기시험 합격자가 공고되었다. 필자는 지방직 일반행정 공무원으로 4년간 근무했고 올해 국가직(일반행정 전국) 시험에 도전하였고 필기시험에 합격하였다. 지방직 일행직에 합격했던 경험이 있지만, 몇 년간 근무하면서 비슷한 공부를 한 적도 없을뿐더러 공무원 시험공부 자체가 휘발성이 강하다. 그래도 공부를 했었기에 머리에 꽤나 남아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공단기 프리패스를 결제하고 YES24에서 교재를 구입하고 자신감 넘치는 클릭으로 인강을 틀자마자 알았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만 한다는 것을. 초시생으로 돌아간 느낌에 좌절감을 느꼈다. 어떤 길을 얼마만큼 가야 하는지 알기 때문에 더 겁이 났다..
2021.05.29 -
지방직 9급 공무원 08 ㅈ방직?②(기관·단체, 악성 민원, 철밥통)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tistory.com)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비교적 최근에 동기와 이야기하다가 지방직 공무원을 'ㅈ방직'이라고 폄하하는 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공무원 커뮤니티를 통해서 퍼진 말인 것 같은데, 불합리한 지방직 문화에 대 oflpark.tistory.com 기관·단체 지방직 공무원이 되면 내가 사는 동네에 이렇게도 많은 단체들이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다. 이·통장협의회, 주민자치위원회, 바르게살기위원회, 적십자봉사회, 새마을협의회, 부녀회, 자율방범대 등등등... 주말에 진행되는 행사로 인한 주말근무가 이런 기관·단체의 존재와 연결되는 부분도 있다. 이러한..
2021.05.28 -
지방직 9급 공무원 07 ㅈ방직?①(비상근무, 주말근무, 초과근무, 수당)
비교적 최근에 동기와 이야기하다가 지방직 공무원을 'ㅈ방직'이라고 폄하하는 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공무원 커뮤니티를 통해서 퍼진 말인 것 같은데, 불합리한 지방직 문화에 대한 현직들의 불만 또는 그것을 본 공시생들의 비하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이해했다. 그 근거를 들여다보니 일부 맞는 말도 있었고 지나치게 자기비하적인 내용도 있었다. 오늘은 지방직을 'ㅈ방직'으로 비하하는 표현이 나오게끔 만드는 지방직의 몇 가지 업무와 문화에 대해서 겪은 그대로 풀어보고자 한다. 과연 지방직 공무원이 '지방직' 공무원인지 아니면 'ㅈ방직' 공무원인지는 각자의 판단에 맡기도록 하겠다. 비상근무(호우, 폭설, 산불, 방역 등) 지방직 공무원은 각종 재난 상황 발생 시 비상근무를 하게 된다. 호우, 폭설뿐만 아니..
2021.05.28